본문 바로가기

내가 공부하려고 쓰는 사자성어 일기173

다기망양-갈림길이 많아 길을 잃다 많을 다 갈림길 기 잃을 망 양 양 갈림길에서 양을 잃었다는 뜻으로, 학문의 길이 많아 진리를 찾기 어렵다는 것을 이르는 말. [유래] 전국시대의 사상가로 극단적인 개인주의를 주장했던 양자의 이웃집에서 양을 잃어버려 많은 하인들이 양을 찾고 있었다. 이유를 묻자 양이 달아난 쪽이 갈림길이 많아서라는 것이었다. 그 후 우울해하는 그에게 제자들이 이유를 묻자, 그는 “단 한 마리의 양이라 할지라도, 갈림길에서 또 갈림길로 헤매어 들어가서 찾다가는 결국 잃어버리고 만다. 하물며 학문의 길은 어떻겠느냐? 목표를 잃고 무수한 학설들에 빠져 헤맨다면 아무리 노력한들 그 또한 무의미한 것 아니겠느냐.”라고 했다. [예문] 다기망양한 현 시국에 어떻게 대처할지 관련 업계의 눈이 집중되고 있다. [유의어] 기로망양岐路亡.. 2022. 2. 3.
눌언민행-말은 더디고 행동은 민첩하다 어눌할 눌 말씀 언 민첩할 민 행할 행 말은 더디고 행동은 민첩하다는 뜻으로, 배우는 자의 자세를 말하기도 함. [유래] 공자의 ‘군자는 언어에는 둔하여도 실천하는 데는 민첩해야 한다’는 가르침에서 유래되었다. 공자는 자신의 수제자(首弟子)로 칭송하던 안회(顔回)를 ‘내가 안회와 종일토록 이야기를 하여도 어기지 않음이 못난이 같다’며 그의 실천 정신을 높이 평가했다. [예문] 유가에서는 배우는 사람의 자세로서 눌언민행해야만 스스로 가르침을 제대로 따를 수 있다고 한다. [출전] [본문 출처] 2022. 1. 30.
누란지위-불안정하고 위험한 상태 묶을 루 알 란 어조사 지 위태할 위 계란을 쌓아놓은 것처럼 불안정하고 위험한 상태. [유래] 의 범저열전(范雎列傳)에, 왕계가 진왕에게 범저를 천거하면서 ‘범저가 진왕국을 평하여 위여누란(危如累卵)이라, 알을 포개놓은 것보다 위태롭다고 했으며, 그를 기용하면 능히 국태민안(國泰民安)을 얻을 것이다.’라고 말한 일화가 실려 있다. [예문] 한국의 운명이 누란지위에 처하자 군 작전지휘권이 미군에게 주어졌다. [유의어] 위여누란危如累卵, 일촉즉발一觸卽發, 풍전등화風前燈火 [출전] 범저열전(范雎列傳) [본문 출처] 2022. 1. 30.
논공행상-알맞은 상을 내리다 의논할 론 공 공 행할 행 상줄 상 공적이 많고 적음에 따라 알맞은 상을 내림. [유래] 오나라 손권은 위나라의 회남으로 출병하여 결전을 벌였으나 크게 패하자 고승(顧承)과 장휴(張休)의 두 부장(部將)이 패전 소식을 듣고 즉각 구원하러 가서 위 왕릉의 군사를 저지하였다. 전서(全緖)와 전서(全瑞)도 오나라 군사의 부장으로서 위 군사를 반격해 패주(敗走)시켰다. 전투가 끝난 후 오나라 수도 건업(建業)에서 ‘공적을 조사하여 상을 주었는데 각각 차이를 두었다’는 데에서 유래되었다. [예문] 논공행상이 행해져 우리 포대가 최고의 상을 받았다. [출전] 오서(誤書) 고담전(顧譚傳) [본문 출처] 2022. 1. 30.
녹엽성음-자녀가 많다 푸를 녹 잎 엽 이룰 성 그늘 음 초록빛 잎이 그늘을 만든다는 뜻으로, 여자가 결혼하여 자녀가 많은 것을 비유적으로 나타낸 말. [유래] 두목은 성품이 강직하고도 신중했으며 사리에 밝았다. 어느 날 두목은 호주를 유람하다가 한 노파와 어린 계집아이를 만나게 되어 10년 후에 아내로 맞겠다는 약속을 한다. 그러나 14년 후 그녀의 행방을 수소문한 결과 이미 3년 전에 결혼해 있었고, 이에 그 안타까움으로 시를 지어 ‘녹엽성음’이라는 구절로 그녀가 아이들의 어머니가 되어 있는 모습을 표현했다. [예문] 요즘 같은 저출산 시대에는 녹엽성음이 어울리지 않는다. [출전] 두목(杜牧)의 칠언절구(七言絶句) [본문 출처] 2022. 1. 30.
노이무공-애쓴 보람이 없다 일할 노 말 이을 이 없을 무 공 공 애는 썼으나 애를 쓴 보람이 없다는 뜻으로, 수고만 하고 아무런 공이 없음을 뜻함. [유래] 공자(孔子)가 노(魯)나라에서 위(衛)나라로 떠나려 할 때 수제자 안연(顔淵)이 사금(師金)이란 벼슬을 하고 있는 사람에게 공자의 여행길이 어떨지를 묻자, 사금은 공자가 욕을 보게 될 거라고 하고는 “물길을 가기 위해서는 배를 이용하는 것이 가장 적당하고, 육지를 가기 위해서는 수레를 쓰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물길을 가야 할 배를 육지에서 밀고 가려고 한다면 한평생이 걸려도 얼마 가지 못할 것입니다. 그런데 옛날과 이제의 차이는 물과 육지의 차이와 같고, 주(周)나라와 노나라의 차이는 배와 수레의 차이입니다. 그러니 이제 주나라의 옛날 도(道)를 오늘의 노나라에서 행.. 2022. 1.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