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407

논공행상-알맞은 상을 내리다 의논할 론 공 공 행할 행 상줄 상 공적이 많고 적음에 따라 알맞은 상을 내림. [유래] 오나라 손권은 위나라의 회남으로 출병하여 결전을 벌였으나 크게 패하자 고승(顧承)과 장휴(張休)의 두 부장(部將)이 패전 소식을 듣고 즉각 구원하러 가서 위 왕릉의 군사를 저지하였다. 전서(全緖)와 전서(全瑞)도 오나라 군사의 부장으로서 위 군사를 반격해 패주(敗走)시켰다. 전투가 끝난 후 오나라 수도 건업(建業)에서 ‘공적을 조사하여 상을 주었는데 각각 차이를 두었다’는 데에서 유래되었다. [예문] 논공행상이 행해져 우리 포대가 최고의 상을 받았다. [출전] 오서(誤書) 고담전(顧譚傳) [본문 출처] 2022. 1. 30.
녹엽성음-자녀가 많다 푸를 녹 잎 엽 이룰 성 그늘 음 초록빛 잎이 그늘을 만든다는 뜻으로, 여자가 결혼하여 자녀가 많은 것을 비유적으로 나타낸 말. [유래] 두목은 성품이 강직하고도 신중했으며 사리에 밝았다. 어느 날 두목은 호주를 유람하다가 한 노파와 어린 계집아이를 만나게 되어 10년 후에 아내로 맞겠다는 약속을 한다. 그러나 14년 후 그녀의 행방을 수소문한 결과 이미 3년 전에 결혼해 있었고, 이에 그 안타까움으로 시를 지어 ‘녹엽성음’이라는 구절로 그녀가 아이들의 어머니가 되어 있는 모습을 표현했다. [예문] 요즘 같은 저출산 시대에는 녹엽성음이 어울리지 않는다. [출전] 두목(杜牧)의 칠언절구(七言絶句) [본문 출처] 2022. 1. 30.
노이무공-애쓴 보람이 없다 일할 노 말 이을 이 없을 무 공 공 애는 썼으나 애를 쓴 보람이 없다는 뜻으로, 수고만 하고 아무런 공이 없음을 뜻함. [유래] 공자(孔子)가 노(魯)나라에서 위(衛)나라로 떠나려 할 때 수제자 안연(顔淵)이 사금(師金)이란 벼슬을 하고 있는 사람에게 공자의 여행길이 어떨지를 묻자, 사금은 공자가 욕을 보게 될 거라고 하고는 “물길을 가기 위해서는 배를 이용하는 것이 가장 적당하고, 육지를 가기 위해서는 수레를 쓰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물길을 가야 할 배를 육지에서 밀고 가려고 한다면 한평생이 걸려도 얼마 가지 못할 것입니다. 그런데 옛날과 이제의 차이는 물과 육지의 차이와 같고, 주(周)나라와 노나라의 차이는 배와 수레의 차이입니다. 그러니 이제 주나라의 옛날 도(道)를 오늘의 노나라에서 행.. 2022. 1. 30.
성시경-희재(국화꽃 향기 OST) https://youtu.be/aWXy974QLCk -가사- 햇살은 우릴 위해 내리고 바람도 서롤 감싸게 했죠 우리 웃음 속에 계절은 오고 또 갔죠 바람에 흔들리는 머릿결 내게 불어오는 그대 향기 예쁜 두눈도 웃음 소리도 모두가 내 것이었죠 이런 사랑 이런 행복 쉽다 했었죠 이런 웃음 이런 축복 내게 쉽게 올 리 없죠 눈물조차 울음조차 닦지 못한 나 정말로 울면 내가 그댈 보내준 것 같아서 그대 떠나가는그 순간도 나를 걱정 했었나요 무엇도 해 줄 수 없는 내 맘 앞에서 그댄 나를 떠나간다 해도 난 그댈 보낸 적 없죠 여전히 그댄 나를 살게 하는 이유일 테니 이런 사랑 이런 행복 쉽다 했었죠 이런 웃음 이런 축복 내게 쉽게 올리 없죠 눈물조차 울음조차 닦지 못한 나 정말로 울면 내가 그댈 보내준 것 같아서.. 2022. 1. 19.
에픽하이(EPIK HIGH)-Love Love Love (Feat. Yoong Jin of Casker) https://youtu.be/qdr0fZbuffY -가사- 밤 열두시 술 취해 지친 목소리 새벽 두시 차갑게 꺼진 전화기 아무도 내 맘을 모르죠 I can't stop love love love 아파도 계속 반복하죠 I can't stop love love love 있나요 사랑해본 적 영화처럼 첫 눈에 반해본 적 전화기를 붙들고 밤새본 적 세상에 자랑해 본 적 쏟아지는 비 속에서 기다려 본 적 그를 향해 미친듯이 달려본 적 몰래 지켜본 적 미쳐본 적 다 보면서도 못 본 척 있겠죠 사랑해본 적 기념일 때문에 가난해본 적 잘하고도 미안해 말해본 적 연애편지로 날 새 본 적 가족과의 약속을 미뤄본적 아프지말라 신께 빌어본 적 친굴 피해본 적 잃어본 적 가는 뒷모습 지켜본 적 미친 듯 사랑했는데 왜 정말 난 .. 2022. 1. 19.
노어해시-잘못 쓰는 오류를 범하기 쉬움 노둔할 노 물고기 어 돼지 해 돼지 시 비슷한 글자를 잘못 쓰는 일을 이르는 말. [유래] 공자의 제자 자하가 위나라를 지나가다가 어떤 사람이 책을 읽으면서 ‘기해섭하(己亥涉河:기해 날에 강을 건너다)’를 ‘삼시섭하(三豕涉河:세 마리의 돼지가 강을 건너다)’라고 틀리게 읽는 것을 들었다. 이치에 맞지 않는 내용이어서 알아보았는데, 읽는 사람이 ‘己亥’와 ‘三豕’의 글자 형태가 닮아서 혼동하여 잘못 읽은 것이었다. [예문] 중요한 계약서이니 노어해시에 신경 써서 작성해주십시오. [유의어] 노어오언魯魚烏焉, 노어제호魯魚帝號, 노어지오魯魚之誤, 노어지유魯魚之謬, 오언성마烏焉成馬 [출전] 자해편(子解篇), 찰전편(察傳篇) [본문 출처] 2021. 11.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