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자성어모음101 남가일몽-덧없는 인생 남녘 남 가지 가 한 일 꿈 몽 남쪽 나뭇가지의 꿈이란 뜻으로, 꿈과 같이 헛된 한때의 부귀영화, 또는 인생의 덧없음의 비유. [유래] 중국 당나라의 순우분(淳于芬)이 술에 취하여 홰나무의 남쪽으로 뻗은 가지 밑에서 잠이 들었다가 괴안국(槐安國)으로부터 영접을 받아 20년 동안 영화를 누리는 꿈을 꾸었다는 데에서 유래한다. [예문] 인생은 남가일몽인 것을 왜 그리 욕심을 부리며 살까? [유의어] 남가지몽南柯之夢, 무산지몽巫山之夢, 일장춘몽一場春夢, 한단지몽邯鄲之夢 [출전] 이공좌(李公佐)의 이문집(異聞集) [본문 출처] 2021. 6. 17. 난형난제-사물의 우열이 없다 어려울 난 맏 형 어려울 난 아우 제 누구를 형이라 하고 아우라고 해야 할지 분간하기 어렵다는 뜻으로, 두 사물이 서로 엇비슷하여 분간하기 어렵다는 말. [유래] 중국 한(漢)나라 진원방(陳元方)의 아들 장문(長文)과 그의 사촌, 즉 원방의 동생 계방(季方)의 아들 효선(孝先)이, 서로 자기 아버지의 공덕이 더 훌륭하다고 주장하다가 결말이 나지 않자 할아버지인 진식(陳寔)에게 판정을 내려주실 것을 호소하였다. 그러자 진식은 “원방도 형 되기가 어렵고 계방도 동생 되기가 어렵다.”고 대답했다. [예문] 결승전에서 만난 두 선수는 난형난제라 결과를 점치기 어렵다. [유의어] 막상막하莫上莫下, 백중지간伯仲之間, 백중지세伯仲之勢, 쌍벽雙璧, 춘란추국春蘭秋菊 [출전] [본문 출처] 2021. 6. 16. 난의포식-안락하고 부족함이 없는 생활 따뜻할 난 옷 의 배부를 포 먹을 식 따뜻한 옷에 음식을 배불리 먹는다는 뜻으로, 안락하고 부족함이 없는 생활을 말한다. [유래] 맹자(孟子)가 ‘사람에게 도(道)가 있으니 배불리 먹고, 따뜻하게 입고, 편안하게 살지라도 가르침이 없으면 금수에 가까워지게 된다’고 한 데에서 유래되었다. [예문] 생활이 어려웠던 60년대만 해도 난의포식하는 사람들이 부러움의 대상이었다. [유의어] 금의옥식錦衣玉食, 포식난의飽食暖衣, 호의호식好衣好食 [출전] 등문공편(藤文公篇) [본문 출처] 2021. 6. 15. 난신적자-세상에 도움이 안 되는 이들 어지럽힐 란 신하 신 해칠 적 아들 자 임금을 죽이는 신하와 어버이를 죽이는 아들, 또는 나라를 어지럽히는 무리나 역적 등 세상에 도움이 안 되는 이들을 이름. [유래] 맹자의 제자 공도자가 ‘사람들이 맹자가 노쟁을 좋아한다고 하는데 그 이유가 무엇이냐’고 묻자 맹자는 선대(先代)의 우(禹)임금과 주공(周公), 공자(孔子) 등 세 성인(聖人)을 게승하는 것이 자신의 뜻임을 밝히고 “옛날에 우임금이 홍수를 막으니 천하가 태평해졌고, 주공이 오랑캐를 아우르고 맹수를 몰아내니 백성들이 편안해졌고, 공자께서 를 완성하니 나라를 어지럽히는 신하와 어버이를 해치는 자식들이 두려워하게 되었다.”라고 말했다. [예문] 정약용은 정조가 비명에 죽고 반대파가 권력을 잡자 난신적자로 몰려 18년 동안 귀양살이를 한다. [출.. 2021. 6. 14. 낙화유수-흐르는 물에 떨어지는 꽃 떨어질 락 꽃 화 흐를 유 물 수 흐르는 물에 떨어지는 꽃이라는 뜻으로, 가는 봄의 경치를 나타내거나 힘과 세력이 약해져 보잘것없이 쇠퇴해간다는 것을 비유하는 말. [유래] 중국 당(唐)나라의 시인 고변이 지은 시(詩) ‘방은자불우(訪隱者不遇)’에 나오는 구절로 ‘떨어지는 꽃이 강물 위로 흐르는 데에서 넓은 세상을 알고, 술에 반쯤 취하여 한가하게 읊으며 혼자서 왔다’에서 유래했다. [예문] 세월이 빠르니 낙화유수라. [출전] 고변(高邊)의 시 ‘방은자불우(訪隱者不遇)’ [본문 출처] 2021. 6. 12. 낙정하석-함정에 빠진 사람에게 돌을 떨어뜨린다 떨어질 락 함정 정 떨어뜨릴 하 돌 석 우물 아래에 돌을 떨어뜨린다는 뜻으로, 다른 사람이 재앙을 당하면 도와주기는커녕 오히려 더 큰 재앙이 닥치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유래] 당송 팔대가의 한 사람인 한유가 간신들의 모함에 빠져 죽은 친구 유종원을 애도하며 지은 묘지명에 ‘아! 선비는 자신이 어려움에 처했을 때 비로소 그 지조를 알게 된다…(중략)… 당신이 만일 다른 사람에 의해 함정에 빠지게 되었다면, 당신을 구해주지 않을 뿐만 아니라 오히려 돌을 들어 당신에게 던지는 그런 사람이 매우 많다.’라고 한 데에서 유래한 말이다. [예문] 수해 지역에서 떠내려 온 물건을 가져가는 행위는 낙정하석과 다름없는 행동이다. [유의어] 하정투석下穽投石 [출전] 한유(韓愈)의 명편(名篇) [본문 출처] 2021. 6. 11. 이전 1 ··· 6 7 8 9 10 11 12 ··· 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