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자공부54

경국대업 다스릴 경 나라 국 큰 대 업 업 나라를 다스리는 큰 사업이라는 뜻으로, 문학의 중요성을 강조한 말. [유래] 중국 문학에서는 조조, 조비, 조식을 삼조(三曹)로 칭하여 이들의 문학성을 인정하고 있다. 이들 삼부자는 중국 역사에 있어서도 적지 않은 비중을 차지하는 인물이지만, 문학을 특히 좋아하여 그 당시 문학 발전에도 많은 기여를 했다. 조비는 일찍이 문학의 중요성을 ‘문장은 나라를 다스리는 큰 사업이며, 영원히 이루어야 할 일이다’라고 정의했다. [예문] 우리말을 사랑하고 발전시키는 것도 경국대업이라 할 수 있다. [출전] 위문제(魏文帝)의 [본문 출처] 2021. 3. 16.
경구비마 가벼울 경 갖옷 구 살찔 비 말 바 가벼운 가죽옷과 살찐 말이라는 뜻으로, 중국에서 부유한 사람들이 외출할 때의 모습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유래] ‘적이 제나라에 갈 때 살찐 말을 타고 가벼운 가죽옷을 입었다()’라는 구절에서 유래했는데, 공자는 그 주석에 ‘비마(肥馬)를 타고 경구(輕裘)를 입는다는 것은 부(富)를 뜻한다’고 했다. [출전] 옹야편(雍也篇) [본문 출처] 2021. 3. 16.
결초보은 맺을 결 풀 초 갚을 보 은혜 은 풀을 맺어 은혜에 보답한다는 뜻으로, 죽어서까지 은혜를 잊지 않고 갚는다는 의미. [유래] 중국 춘추시대 진의 위무자는 병이 들다, 아들 위과에게 자기가 죽으면 아름다운 후처, 즉 위과의 서모를 개가시켜 순사를 면하게 하라고 유언하였다. 그러나 병세가 악화되어 정신이 혼미해진 위무자는 후처를 같이 묻어 달라고 유언을 번복하였다. 하지만 위무자가 죽은 뒤 위과는 애초의 유언대로 서모를 개가시켜 순사를 면하게 하였다. 후에 위과가 전쟁에 나가 진의 두회와 싸워 위태로울 때 서모 아버지의 망혼이 나타나 적군의 앞길에 풀을 잡아매어 두회가 탄 말이 걸려 넘어지게 하였고, 결국 두회를 사로잡게 도와 주웠다. [예문] 죽어 저승에 가서라도 결초보은하겠습니다. [유의어] 결초함환結草.. 2021. 3. 15.
견토지쟁 개 견 토끼 토 어조사 지 다툴 쟁 개와 토끼의 다툼이란 뜻으로, 양자의 다툼에 제삼자가 힘들이지 않고 이익을 보는 것을 말한다. [유래] 전국시대 제나라 왕에게 중용된 순우곤은 원래 해학과 변론의 뛰어난 세객이었는데, 왕이 위를 치려고 하자 순우곤은 ‘한자로라는 매우 발 빠른 명견이 동곽준이라는 썩 재빠른 토끼를 뒤쫓았는데 그들은 수십 리에 이르는 산기슭을 세 바퀴나 돌고 가파른, 산꼭대기까지 다섯 번이나 오르락내리락 하는 바람에 둘 다 지쳐 쓰러져 죽자 그것을 발견한 농부는 힘들이지 않고 횡재를 하였다. 지금 제와 위는 오랫동안 대치하는 바람에 군사도 백성도 지치고 쇠약하여 사기가 말이 아닌데, 서쪽의 진과 남쪽의 초가 이를 기회로 횡재를 거두려 하지 않을지 걱정이다’라고 진언을 했고, 왕은 그 뜻을.. 2021. 3. 14.
견리망의 볼 견 이로울 이 잊을 망 옳을 의 눈앞의 이익에 사로잡히게 되면 의리를 잊어버리게 된다는 뜻. [유래] 장자가 조릉(雕陵)의 정원으로 사냥을 갔을 때 큰 새를 활로 쏘려고 하는데 새가 움직이지를 않아 자세히 보니 그 새는 제비를 노리고 있었고, 그 제비 또한 매미를 노리고 있었다. 그러나 정작 매미는 위험한 줄 모르고 즐겁게 울고 있었다. 이를 본 장자가 생각에 잠겨 있는데 정원지기가 다가와 정원에 함부로 들어온 그를 책망했다. 즉 새와 제비, 매미, 그리고 장자 자신은 눈앞의 이(利)를 보고 미처 자신의 처지를 깨닫지 못했던 것이다. [예문] 로또에 당첨되자 친구를 외면하다니! 그렇게 견리망의로 행동했다가는 언젠가 후회할 날이 있을 것이다. [유의어] 당랑재후螳螂在後, 당랑포선螳螂捕蟬 [출전] [본문.. 2021. 3. 13.
격물치지 바로잡을 격 민물 물 이를 치 알지 사물의 이치를 연구하여 지식을 명확히 밝힌다는 뜻. [유래] 격물(格物), 치지(致知), 성의(誠意), 정심(正心), 수신(修身), 제가(齊家), 치국(治國), 평천하(平天下)의 8조목으로 된 내용 중, 처음 두 조목을 가리키는데, 이 말은 본래의 뜻이 밝혀지지 않아 후세에 그 해석을 놓고 여러 학파가 생겨났다. 그중에서 대표적인 것이 주자학파와 양명학파이다. 주자의 격물치지가 지식 위주인 것에 반해 왕양명은 도덕적 실천을 중시하고 있어 오늘날 주자학을 이학(理學)이라 하고, 양명학을 심학(心學)이라고도 한다. [예문] 조선의 유학자들은 학문탐구에서 독서나 탁상공론을 배격하고 격물치지를 중시했다. [유의어] 격물궁리格物窮理 [출전] [본문 출처] 2021. 3. 13.